반응형
제사를 비롯해 명절에 상을 차리면 한가운데에 지방을 써서 밥풀로 고정을 시키는데요.
이 지방이 어떻게해서 붙여지게되었고, 어떤식으로 쓰는지 알아보도록하겠습니다.
예전에는 집집마다 조상의 위패나 신주를 모신 사당이 있었고 제삿날이나 명절에 이 위패를 모셔다 놓고 지냈는데요.
요즘은 집에 사당이나 조상의 위패도 없습니다. 따라서 임시로 종이에 글을 적어 위패를 대신하는 데요. 이때 사용하는것이 바로 지방입니다.
지방, 어떻게 써야할까?
제사를 지낼 때 부모님중 한분만 돌아가셨을 경우에는 지방에도 한 분만 쓰고, 두 분 다 돌아가시면 지방에도 부모님 두분다 같이 쓰게 되는데요. 이때 오른쪽에 어머니의 신위를 쓰고 왼쪽에 아버지의 신위를 쓰면됩니다. 일반적으로 좌측이 남자 우측이 여자이며, 부부가아닌경우 지방도 따로 써야합니다.
지방에는 고인과 제사를 모시는 사람의 관계, 고인의 직위, 이름, 신위 순으로 적는데요.
하나하나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고인과 제사를 모시는 사람과의 관계
아버지는 ‘고(考)’, 어머니는 ‘비(妣)’, 조부모는 ‘조고(祖考)’, ‘조비(祖妣)’, 증조부모는 ‘증조고(曾祖考)’, ‘증조비(曾祖妣)’라 하여 앞에 현(顯)을 써서 현고, 현비, 현조고 등으로 씁니다.
2. 고인의 직위
남자 조상이 벼슬을 한 경우에는 벼슬의 이름을 그대로 쓰고, 여자 조상은 남편의 벼슬 등급에 따라 貞敬夫人(정경부인), 貞夫人(정부인), 淑夫人(숙부인) 등의 호칭을 쓰면됩니다. 벼슬을 안 한 경우 남자 조상은 ‘學生(학생)’이라 쓰고, 그 부인은 ‘孺人(유인)’이라 씁니다.
3. 고인의 이름
남자 조상의 경우 모두 ‘府君(부군)’이라고 쓰며, 여자조상이나 아내는 본관과 성씨를 씁니다.
자식이나 동생의 경우에는 이름을 쓰면됩니다.
요즘에는 한글로 지방을 쓰는 경우가 많이 늘어나고 있는데요. 아버님 신위 또는 어머님 신위라고 간단하게 쓰기도하며, 한자의 우리말 표기를 써서 ‘현고학생부군신위’와 같이 쓰기도 합니다.
그러나 지역마다 혹은 집안마다 방법이 다르기때문에 어느것이 정답이고 어느것이 잘못되었다고 할수없습니다.
따라서 성의를 다해 조상님을 모시는것이 가장 중요하다 생각됩니다.
300x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