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저번 포스팅에서 금속의 단중(중량)을 구하는 방법을 알아봤었는데요.
단순히 공식을 외우는 것이 아니라, 비중과 상수란 무엇인지에 대해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풀어서 설명했었습니다.
혹시 아직 보지 않으셨다면, 먼저 읽어보는게 이해에 도움이 될거라 생각이 됩니다.
☞ 철, 비철 금속의 단중(중량) 구하는 방법
※ 비철금속의 비중도 위 링크를 클릭하면 확인할 수 있습니다.
(ㄴ형강으로 알고있는 분들도 많은데 ㄱ형강 또는 앵글이라고 부르는게 맞습니다.)
모든 금속의 단위중량을 구하는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중 = 두께 X 가로 X 세로 X 비중 / 상수
이 공식만 대입하면 모든 금속의 중량을 구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ㄱ형강의 경우 단면도를 보시면 아래 그림과 같이 직선으로 이루어진게 아닙니다.
따라서 직접 계산하기보다는 중량규격표로 확인하는게 편하고 간단합니다.
ㄱ형강뿐만아니라 중량규격표에 나오는 모든 형강류, 파이프류는 단위무게(단위중량)가 Kg/M입니다. 즉 1미터당 중량을 말하는데요.
보통 ㄱ형강은 환봉이나 평철과 다르게 10M로 나오더라고요.
너무 길어서 5M씩 절단해서 판매하기도 하는데요.
따라서 중량규격표에 나오는 단위무게에서 원하는 길이를 미터단위로 곱하면됩니다.
예를 들어 많이 사용되어지는 6T*50*50짜리 등변ㄱ형강의 중량을 계산해보겠습니다.
원본이 10M라고 가정하면, 단위중량이 4.43Kg이므로, 10M 한본은 44.3Kg가 됩니다.
5M 절단품이라면 그 절반인 22.15Kg이 되겠지요.
앵글 Kg당 단가가 850원이라 가정하면, 6T*50*50*10000L 한본은 44.3Kg X 850원 = 37,655원이 됩니다.
대부분의 업체에서는 Kg당 단가안에 물류비까지 포함되어있는 경우가 많으니
양이 많을 경우 네고가 가능하겠지요.
반대로 말해 양이 적을 경우 배보다 배꼽이 더 클수도있습니다.
그럴땐 직접 가지러가야하는 일도 발생하니 참고바랍니다.
1. 등변ㄱ형강 중량규격표
하지만 ㄱ형강(앵글)의 경우 10M 또는 5M 단위로 유통되므로 먼저 거래처에 문의해보시기 바랍니다.
300x250